안녕하세요, 님! 북토크입니다. 안녕하세요 님 북토크입니다!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자본주의에서 부자 되는데 가장 중요한 '한 단어'가 뭘까요?"
슈퍼리치들은 입모아 '레버리지'라 말합니다. |
|
|
오늘은 메가히트셀러 <레버리지> 리뷰 영상에 담았던,
'가장 빨리 경제적 자유를 얻는 레버리지 활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
|
첫째, '시간 레버리지'입니다.
같은 시간을 살아도, 이 사람과 저 사람의 1분은 완전 다릅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의 1분과, 인스타 릴스 무한 스크롤에 빠져있는 사람의 1분은 질적으로 다른 것처럼 말이죠. 이처럼, 시간에는 '종류'가 존재합니다.
<레버리지>에서는, 시간을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낭비된 시간
(2) 소비된 시간
(3) 투자된 시간
'낭비된 시간'이란, '남는 것 없이 날려버린 시간'입니다. 5분만 지나면 기억도 안나는 쇼츠를 보며 흘려보낸 시간이 대표적이죠.
'소비된 시간'이란, '돈과 바꾸는 시간'입니다. 시급 1만 원인 사람이 한 시간 일하면 1만 원을 받습니다. 이때 '한 시간'의 가치는 딱 '1만 원'까지입니다. 그 이상 가치를 창출하지 못합니다. 시간과 돈을 바꾼 것이죠. '일한 만큼만 대가를 받는 시간'. 이게 '소비된 시간'입니다.
'투자된 시간'이란, 단순히 일한 만큼 대가를 받는 것을 넘어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는 시간입니다. 당장 소득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추후 더 큰 부를 창출해낼 수 있는 시간을 뜻합니다. 사업, 투자에 힘쓰는 시간. 독서, 운동 등 자기계발에 힘쓰는 시간이 대표적이죠.
'시간 레버리지'란 뭘까요? '낭비된 시간'과 '소비된 시간'을 줄이고, '투자된 시간'을 늘리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유튜브를 한다 가정하면, 처음에는 전혀 돈이 안됩니다. 편의점 알바가 훨씬 돈이 되죠. 그러나, '투자된 시간'이 쌓여 성과가 나기 시작하면, 유튜브 영상들이 24시간 재생되며 돈을 벌어옵니다.
이처럼 눈 앞의 작은 보상에 시간을 '낭비', '소비'하지 않고 가치가 상승할 것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 부자되는 데 필요한 시간 레버리지 법칙입니다. |
|
|
둘째, '일 레버리지'입니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님이 사무실 청소하고, 반도체 조립하고, 사업 보고서를 쓰고 있다면 어떨까요? 아마 "회장님이 왜 저 일을 하고 있어?" 생각할 겁니다.
왜 그런 생각이 들까요? 일에 귀천이 있어서? 회장님이 할 수 있는 다른 일 대비 창출 가치가 낮기 때문입니다. 청소할 사람은 시급 몇만 원이면 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청소할 시간에 해외 바이어 미팅, 임원회의를 가지고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면 수십 수백억을 벌 수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이처럼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일'이 존재합니다. 한 헬스 트레이너가 1시간 레슨에 10만 원을 받는다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데스크 직원을 구하는 데 시급 2만 원이 든다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트레이너는 데스크에 앉아 1시간 일하는 것보다 직원을 뽑고 자신은 트레이닝 하나라도 더 하는게 효율적 선택입니다.
이처럼, '내 시간당 가치'보다 낮은 가치를 창출하는 일을 제거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는 것이 '일 레버리지'입니다.
그렇다면, '내 시간당 가치'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1. 내 월급을 4.3으로 나눈다 eg) 300만 원/4.3 = 약 70만 원
2. 1에서 나온 값을 주 근무시간으로 나눈다 eg) 70만 원/40시간 = 17,500원
월 소득이 300만 원이라면, 시간당 17,500원 이상 벌 수 있는 일은 직접하고, 아닌 일은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게 경제적으로 이득이라는 겁니다.
물!론! '일 레버리지'의 전제조건은 "더 일하면 돈이 된다." 입니다. 더 많이 일해도 초과근무도 인정 안해주는 회사를 다닌다면, 정해진 시간에 최대한 빨리 일을 끝내고 다른 일을 하는게 이득입니다.
여러분의 시간당 가치는 얼마인가요? 여러분은, '일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계신가요? |
|
|
마지막, '지식 레버리지'입니다.
우리 모두를 앞서서 살았던 수많은 사람이 있다.
부모, 학교 당신을 괴롭히는 사람들로부터 겪는 모든 문제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누군가가 이미 겪었던 문제들이다.
-
<레버리지> 중
살면서 만나는 문제의 90% 이상은 '정답이 나와있는 문제'입니다. 허리통증이 고민이라면 의사선생님을 찾아가면 답이 나옵니다. 세금 고민이 있다면 세무사를 찾아가면 됩니다. 직원 관리가 고민이라면 선배 사업가를 찾아가면 됩니다. 찾아가기만 하면 답이 나올 문제를 나 혼자 고민해서 해결하겠다? 초등학생이 전구, 비행기, 만유인력의 법칙, 상대성 이론을 책 안보고 스스로 발견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빨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입니다. 답을 아는 사람을 만나는 것이 어렵다면, 그들이 쓴 책을 읽으면 됩니다. 존재의 이유를 고민하고 있다면, 위대한 철학자들의 책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리더십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위대한 리더들의 자서전을 읽으면 됩니다. 이렇듯 이미 답을 아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는 것이 바로 '지식 레버리지'입니다.
세상에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한 정답이 존재합니다. 학교 시험에서는 답안지를 펼치는 것이 부정행위일지 몰라도, 세상에선 아닙니다. 다른 사람의 답안지를 빠르게 펼쳐보는 것. 이게 바로 '지식 레버리지'입니다. |
|
|
'레버리지'의 뜻은 '지렛대'입니다.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체를 움직일 수 있는 도구죠. 오늘은 3가지 레버리지 방식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시간', '일', '지식' 레버리지를 통해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의 작은 힘으로도 큰 성취를 해내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
북토크의 SNS 노하우를
레버리지 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영상을 시청해보세요 :) |
|
|
|